그림자사전 썸네일형 리스트형 名詞集: 그림자와 빗장 1 흩어진 그림자들, 모두한곳으로 모이는그 어두운 정오의 숲속으로이따금 나는 한 개 짧은 그림자가 되어천천히 걸어 들어간다쉽게 조용해지는 나의 빈 손바닥 위에 가을은둥글고 단단한 공기를 쥐어줄 뿐그리고 나는 잠깐 동안 그것을 만져볼 뿐이다나무들은 언제나 마지막이라 생각하며작은 이파리들을 떨구지만나의 희망은 이미 그런 종류의 것이 아니었다 너무 어두워지면 모든 추억들은갑자기 거칠어진다내 뒤에 있는 캄캄하고 필연적인 힘들에 쫓기며나는 내 침묵의 심지를 조금 낮춘다공중의 나뭇잎 수효만큼 검은옷을 입은 햇빛들 속에서 나는곰곰이 내 어두움을 생각한다, 어디선가 길다란 연기들이 날아와희미한 언덕을 만든다, 빠짐없이 되살아나는내 젊은 날의 저녁들 때문이다 한때 절망이 내 삶의 전부였던 적이 있었다그 절망의 내용조차 .. 더보기 名詞集: 기억과 물방울 기억 1 먼지 낀 유리창 너머로 보이는 풍경 (짐 실은 트럭 두 대가 큰 길가에 서 있고그 뒤로 갈아엎은 논밭과 무덤, 그 사이로 땅바닥에 늘어진 고무줄 같은 소나무들) 내가 짐승이었으므로, 내가 끈적이풀이었으므로 이 풍경은 한번 들러붙으면 도무지 떨어질 줄 모른다 2 국도에는 먼지를 뒤집어쓴 노란 개나리꽃, 배가 빵그란 거미처럼 끊임없이엉덩이를 돌리며 지나가는 레미콘 행렬, 저놈들은 배고픈 적이 없겠지 국도변식육식당에서 갈비탕을 시켜 먹고 논둑.. 더보기 名詞集: 길과 오후 길 1한때 젖은 구두 벗어 해에게 보여주곤 했을 때 어둠에도 매워지는 푸른 고추밭 같은 심정으로 아무 데서나 길을 내려서곤 하였다 떠나가고 나면 언제나 암호로 남아 버리던 사랑을 이름부르면 입 안 가득 굵은 모래가 씹혔다 2밤에 길은 길어진다 가끔 길 밖으로 내려서서 불과 빛의 차이를 생각다 보면 이렇게 아득한 곳에서 어둔 이마로 받는 별빛 더이상 차갑지 않다 얼마나 뜨거워져야 불은 스스로 밝은 빛이 되는 것일까 3길은 언제나 없던 문을 만든다 그리움이나 부끄러움은 아무 데서나 정거장의 푯말을 세우고 다시 펴보는 지도, 지도에는 사람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 4가지 않은 길은 잊어버리자 사람이 가지 않는 한 길은 길이 아니다 길의 속력은 오직 사람의 속력이다 줄지어 가는 길은 여간해서 기쁘지 않.. 더보기 名詞集: 청춘과 별 그 계절에는 발바닥에 별들이 떴다발그레한 아이의 피부 같은,막 떠오른 별들로 가득한 벌판에서나는 말발굽을 주웠다밤마다 달빛에 비춰보며 꿈을 꾸었다벌판을 지나 하늘에 화살을 박는말 울음소리를벌판의 꽃들이 짓이겨진하늘로 달려 나간 푸른 바람을말발굽의 꽃물 범벅을내 잠 속으로 향내 나는 청마가 달려오며성운 가득 밴 냄새로별자리를 엮어갔다빛나는 말발굽에쩡쩡한 겨울 하늘도파편으로 흩어졌다우주가 내 발바닥으로 자욱하게 몰려드는푸른 연기로그러나 나는 이미 알았다꽃들이 어스름 속에서추억처럼 진해진다는 것을짓이겨진 꽃물이 사실은어스름이라는 것을말발굽이 놓여 있는빛의 길목으로지난 시절의 꿈들이 수줍은 듯그렇게 지나가버린다는 것을 「지나 가버리는 것에 대한 메모 」 박형준 詩集『 불탄 집 』 (천년의시작, 2013.. 더보기 名詞集: 노을과 향기 늦은 오후 그 산에 왜 갔는지, 아마 쓸쓸한 저녁을 기다렸는가봅니다...... 언젠가 당신이 노을을 상처에 빗대었지요 그 후 노을을 당신처럼 여기는 버릇이 생겼답니다 그러나 햇살을 피해 숲속으로 걸음을 옮기는데 보랏빛 꽃무더기가 또렷이 길을 만들며 흩어져 있는 것입니다 누가 꽃잎을 뿌려 먼 길을 만든 걸까 서늘한 고요가 숲의 공기를 당기고 있을 뿐 아무도 내 앞뒤에 없습니다 이제 사람이 두려운 건가요...... 꽃잎 따라 숲을 헤매었지요 차라리 보랏빛을 쫓았다는 게 더 어울립니다 마치 그 꽃잎의 흩어짐 끝에 노을과 당신이 있을 환상을 품고, 그래요 환상이지요...... 그러나 몇 시간 지나지 않아 금방 끝날 것 같은 그 길 어디선가 찬물을 뒤집어쓴 느낌, 느낌표의 풀꽃조차 나를 힐끗 쳐다보는 것, 그 지.. 더보기 名詞集: 가을과 깨달음 며칠 동안 무 도둑을 찾아 나서야겠다는 생각만 하다 드디어 몸을 일으켰다 엄마 갔다 올게, 경아 오래 키운 개는 앞발에 턱을 괸 채 미동도 않았다 경이는 무 도둑을 보았을까 누가 지나가든 매사에 심드렁한 개는 그날도 뿌연 구름이 낀 눈을 깜박이며 하품만 했을 것이다 그러니까 여름 내내 물을 주고 가꾼 화단의 무가 모조리 뽑혀나간 그날 아침, 그런 날에도 버스는 제 시각에 도착하고 택배가 날아오고 엘리베이터 문이 닫히고 컴퓨터의 전원을 누르면 파스스 소리와 함께 불이 들어온다 먹다 남은 카레를 천천히 씹으며 생각했다 어쩌다가 무를 도둑맞게 되었을까 그러니까 삼 년 전 어디선가 얻어왔다며 아버지가 던진 흰 봉투 속에는 씨앗들이 한가득이었는데 열심히 백과사전을 들추어봐도 도무지 무슨 씨앗인지.. 더보기 이 겨울, 갈대 둘 시경(詩經)_국풍(國風)_제11 진풍(第十一 秦風) 129_겸가(蒹葭)_갈대 蒹葭蒼蒼 白露爲霜 (겸가창창 백로위상) : 갈대는 우거지고 흰 이슬은 서리가 되었는데 所謂伊人 在水一方 (소위이인 재수일방) : 그님은 물 건너에 계시다네 遡洄從之 道阻且長 (소회종지 도조차장) : 물결을 거슬러 올라가 다가가려해도 길은 멀고 험해 遡游從之 宛在水中央 (소유종지 완재수중앙) : 물길 따라 내려가도 아스라이 물 한가운데 계시네 蒹葭淒淒 白露未晞 (겸가처처 백로미희): 갈대는 아직 무성한데 흰 이슬 촉촉하네 所謂伊人 在水之湄 (소위이인 재수지미): 그님은 물가에 계시네 遡洄從之 道阻且躋 (소회종지 도조차제): 물결을 거슬러 올라가 다가가려해도 길은 험하고 사나워 遡游從之 宛在水中坻 (소유종지 완재수중저): 물길 따라.. 더보기 이 여름, 詩 둘 이 밤의 작별을 쉽게 받아들이지 마세요 노년의 마지막은 불타오르고 포효해야 하기에, 꺼져가는 불빛을 향해 분노하고, 분노하세요. 현명한 이들은 그들의 마지막이 어둠일 것이라고 생각하겠지만 그들의 말은 불꽃 하나 일으킬 수 없었기에 이 밤의 작별을 쉽게 받아들이지 마세요 선한 자들은 마지막 파도 곁에서 자신들의 덧없는 행동들이 푸른 바다에서 얼마나 빛나게 춤추었을지를 슬퍼하기에, 꺼져가는 불빛을 향해 분노하고, 분노하세요. 한낮의 태양을 붙잡고 노래하며 시간을 허비하던 이들은 결국 그 태양이 저물어가는 것을 늦게 깨닫고 슬퍼했기에, 이 밤의 작별을 쉽게 받아들이지 마세요 위독한 자들은 죽음을 앞두고 앞이 보이지 않을지라도 그 멀어버린 눈이 유성처럼 불타고 빛날 수 있기에 꺼져가는 불빛을 향해 분노하고, 분.. 더보기 이 봄, 편지 둘 닿지 못한 편지 …… 지금 이 글을 읽으실 선생님을 상상하는 것은 고통스럽습니다. 선생님은 필경 제가 모르는 감각과 사유, 경험을 하셨을 터이고, 그 같은 변화된 내면을 정리하면서 짐을 꾸리는 조금은 힘없는 손끝을 저는 느낍니다. 저는 편지를 읽으면서 이런 생각을 얼핏하였습니다. 이 여자는 어쩌면 한 달 후 델리에 돌아오지 않을 지도 모른다. 그녀는 어쩌면 갈색의 물이 흐르는 江邊에 영원히 숨어버릴지도 모른다......같은. 선생님은 호텔 문 앞에서 눈물을 흘린 이야기를 했지만 내가 궁금한 것은 서 무엇을 하였을까 하는 점입니다. 선생님은 간디 이야기를 하셨지요. 저는 그러나 한 달 뒤인 지금 선생님이 인도에서 간디와 같은 만이 아닌 을 만났을 거라고 추측해 봅니다. 배는 안 고팠나요? 미지와의 만남은요.. 더보기 삶의 목적 오랜 여행길에서 혹은 길을 걷다가 느슨해진 상념들 사이로 갑자기 낯선 기분에 휩싸여 스스로에 되묻게 되는 질문이 있다.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 이 단순한 질문은 개인의 인문학적 소양이나 인식의 깊이를 논하기 전에 스스로에게 묻고자 하는 삶의 목적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왜. 뒤샹(Marcel Duchamp)이 변기를 전시회에 들여다 놓은 이후로 댄 플레빈(Dan Flavin)은 형광들을 걸어놓고 칼 안드레(Carl Andre)는 벽돌을 깔아놓기 시작했다. '모던'했던 그들은 '균열'을 만들고 싶었다. 그 진리의 균열을 통해 지식의 환영들과 회유를 넘어 진리를 양도받는 수동적 수혜자에서 새로운 보편성으로서의 새로운 '진리'를 창조하는 주체자이고자 했던 것이다... 더보기 이 가을, 文章 둘 雨從何來 風作何色 비는 어디에서 왔으며 바람은 어떤 빛깔인가 雪竇顯頌 雨從何來 風作何色 (설두현송 우종하래 풍작하색) - 설두현(雪竇顯)이 송하되 비는 어디에서 왔으며 바람은 어떤 빛깔인가* 『禪門三家拈頌集』券21 第857則 雨從何來 (우종하래) - 염송설화에서 운거가, 유우단공(劉禹端公)이 묻되 '비가 어디로부터 옵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단공(端公)의 묻는 곳으로부터 온다. 단공이 드디어 3배(拜)로 작례(作禮)했다. 환희하며 물러나면서 몇 걸음 행했는데 스님이 불러 이르되 단공, 공이 머리를 돌렸다. 스님이 이르되 물음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단공이 말이 없었다. 風作何色(풍작하색) - 서선동평(西禪東平)이 관원과 앉은 차에 서선이 이르되 바람은 어떤 색을 짓는가. 관원이 말이 없었다. 서선.. 더보기 헤어질 결심 나는요... 완전히 붕괴됐어요 엇갈린 사랑. 사랑은 늘 거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움직인다.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영화 에서 상우의 질문은 체념을 내포한다. 소년 상우는 어른 은수의 사랑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것은 대상을 사랑한 것이 아니라 사랑을 사랑한 관념적 자아, 스스로의 사랑에 의해 존재의 근거를 상실한 자의 고백이기도 하다. 영화 에서 해준과 서래는 사건의 피의자와 형사로 만나고 의심과 관심의 경계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한다. 자기가 지켜온 형사로서의 고귀한 가치관과 신념을 무너뜨리지 않으려고 노력하지만 그는 서서히 서래에게 스며들게 된다. 서래 또한 그녀의 불우한 인생에서 자신의 존재가치를 확인시켜줄 품위있는 해준을 마음에 두게 된다. 사랑은 상대에 대한 깊은 경험이며 분리된 자아에 대한 ..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